- AI 교육 표준화와 엘리트 육성으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사진=바이두

[더지엠뉴스] 중국이 인공지능(AI) 인재 양성에서 빠른 성장을 보이며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핵심은 상위 5% 인재를 선별해 집중 교육하는 특별 과정과 국가 차원의 AI 교육 인증제 도입이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마이크로 전공 도입 ▲‘AI+X’ 융합 교육 ▲AI 교육 품질 관리 ▲산학연 협력 등 체계적인 인재 양성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비전공자도 AI 기본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단기 학위 과정인 ‘마이크로 전공’을 운영하며, 해당 과정 도입 대학을 올해 100개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중국 대학 입학시험(가오카오) 상위 5% 학생을 대상으로 ‘강기계획’을 통해 베이징대 ‘투링반’, 칭화대 ‘야오반’ 등 AI 특화 교육을 제공하며 세계적 수준의 연구자를 배출하고 있다.
아울러 중국은 AI 교육을 국가 차원에서 표준화하고 인증제를 도입해 교육 품질을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정부 차원의 AI 실력 평가가 부재한 상황으로, AI 교육 체계 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고서는 중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과정에서 향후 인재 부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2030년까지 AI 산업에 필요한 인력이 6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지만, 현재 양성 속도로는 200만 명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AI 인재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반도체, 배터리 등 강점을 가진 산업과 AI를 융합한 특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