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보기
-
-
테슬라, 중국서 FSD 한 달 무료 제공…주가 급락
- [더지엠뉴스] 테슬라가 중국에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FSD(Full Self-Driving)를 한 달간 무료로 제공하기로 결정하면서, 주가가 급락했다. 17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4.79% 하락한 238.01달러로 마감했다. 최근 반등세를 보였던 주가는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테슬라는 중국 웹사이트 공지를 통해 3월 17일부터 4월 16일까지 테슬라 차량 소유주들에게 FSD 무료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FSD는 테슬라가 개발한 자율주행 지원 소프트웨어로, 미국에서는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테슬라는 중국 시장에서 완전 자율주행 기능을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데이터 보안 규제로 인해 현지 주행 데이터를 AI 학습에 활용하지 못하는 제약이 있었다. 이에 따라 테슬라는 중국 IT기업 바이두의 지도 데이터를 활용해 FSD의 주행 능력을 개선할 계획이다. 중국 내 BYD(비야디), 샤오펑(엑스펑), 샤오미 등 자율주행 기술을 보유한 경쟁업체들과의 격차를 좁히기 위한 조치로 분석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테슬라가 중국 시장에서 자율주행 기술 경쟁에서 밀릴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야후 파이낸스는 "테슬라의 FSD 무료 제공은 중국 내 경쟁사들과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월가 투자회사들은 테슬라의 목표 주가를 하향 조정하고 있다. 미즈호 증권은 기존 515달러에서 430달러로 목표 주가를 낮췄으며, JP모건은 1분기 인도량 감소 전망을 반영해 135달러에서 120달러로 조정했다. 현재 테슬라에 대한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목표 주가 평균치는 370달러로 집계됐다.
-
- 중국
- 경제
-
테슬라, 중국서 FSD 한 달 무료 제공…주가 급락
-
-
당 규율 강화, 전당 학습 캠페인 시작된다
- [더지엠뉴스]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사무국이 최근 당내 규율 강화를 위한 대규모 학습 캠페인을 발표했다. 이번 통지는 제20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에서 결정된 방침을 따르며,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을 철저히 학습하고 실천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를 통해 당내 기강을 더욱 확립하고, 8대 중앙규정 정신을 확고히 자리 잡게 하려는 목적이다. 이번 학습 캠페인은 2025년 전국인민대표대회 2차 회의 이후 시작되며, 7월 말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는 이번 학습을 통해 당의 혁신적 이론 무장을 심화하고, 시진핑 총서기의 주요 연설과 당 기강 강화를 위한 중요한 설명을 정리해 전당 차원의 공감대를 형성하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중앙위원회 8개 규정과 그 시행세칙을 위반한 사례를 철저히 조사하고, 당 기율을 더욱 엄격히 적용할 것을 강조했다. 이를 통해 당의 순수성을 유지하고, 국민의 신뢰를 지속적으로 확보할 방침이다. 이번 학습 교육은 특정 단계로 나뉘지 않고, 전당 차원의 통합적 접근 방식으로 진행된다. 일상 업무와 결합해 지속적으로 추진되며, 주요 간부들은 모범을 보여야 한다. 시진핑 총서기의 당 운영 철학과 중앙위원회 8개 규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토론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실질적인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는 것이 핵심 목표다. 또한, 기율검사감독, 감사 순회, 재무 감사 등을 통해 당내 문제를 전면적으로 점검하고 시정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특히, 일반 국민의 참여와 감독을 강조하며, 당원 및 간부들이 실질적으로 국민을 위한 행정을 펼칠 수 있도록 지도할 방침이다. 당 지도부는 형식주의를 배제하고, 실질적인 개혁을 통해 중국식 현대화를 추진하는 데 강력한 보장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각급 당위원회는 이 학습 캠페인의 실질적인 실행을 책임지며, 조직적 집행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또한, 선전과 교육을 강화해 당원들의 사상적 통일을 이루고, 일선 간부들이 이를 모범적으로 실천하도록 해야 한다.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는 이번 학습 캠페인을 통해 당내 기강을 강화하고, 시진핑 신시대 사상을 기반으로 한 통치 체계를 더욱 확립할 계획이다.
-
- 중국
- 정치
-
당 규율 강화, 전당 학습 캠페인 시작된다
-
-
배우 김새론과 김수현, 과거 관계 논란 속 유족 기자회견
- [더지엠뉴스] 배우 김새론의 유가족이 배우 김수현과의 과거 관계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공식 기자회견을 열기로 했다. 유가족은 17일 오후 2시 서울경찰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튜버 이진호를 허위 사실 유포에 따른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할 예정이다. 유가족 측 법률대리인은 "김새론과 김수현이 미성년자 시절 연인이었다는 점은 사실이지만, 이를 '자작극'이라고 표현한 것은 명백한 허위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10일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는 김새론과 김수현이 스킨십을 나누는 사진을 공개하며 두 사람의 관계를 언급했다. 이에 대해 김새론의 유족은 김수현의 소속사인 골드메달리스트가 공식적인 사과를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유족 측은 "김수현 씨가 과거 연애 사실을 인정하고 공식적으로 사과하길 바란다"고 밝혔으며, 이에 대해 김수현 소속사는 "허위 사실"이라며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김수현 측은 "당사자가 밝힌 내용 중 일부는 사실과 다르며, 충분한 설명을 나누고 싶다"고 전하며 갈등이 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
- 한국 이슈
- 사회/과학
-
배우 김새론과 김수현, 과거 관계 논란 속 유족 기자회견
-
-
다이빙 中대사, “양국 관계 재정립하고 협력 확대해야”
- [더지엠뉴스] 중국 다이빙(戴兵) 주한 중국대사가 최근 한국을 방문한 백승주 ‘한중안보평화포럼’ 회장(전 국방부 차관)과 만나 한중 관계 발전 방향과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다이빙 대사는 백승주 회장이 국방부 차관 재임 당시 한국이 중국에 중국인민지원군 열사 유해를 인도하도록 추진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한중 양국이 서로에게 중요한 이웃이며, 수교 33년간 양국 관계가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고 강조했다. 또한, 새로운 국제 정세 속에서 양국은 협력의 기반을 재정립하고, 공동 이익을 확대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와 협력을 심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통해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더욱 건강하고 안정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백승주 회장은 다이빙 대사의 부임을 축하하며, 중국이 한국에 대해 비자 면제 정책을 시행한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포럼의 기본 상황을 설명하며, 한중 간 안보 분야의 교류와 상호 신뢰 증진을 적극 추진해 양국 관계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동에는 윤봉길 의사의 손녀인 윤주경 전 국회의원과 주한 중국대사관 팡쿤(方坤) 공사가 배석했다.
-
- 한중교류와 협력
-
다이빙 中대사, “양국 관계 재정립하고 협력 확대해야”
-
-
중국, 소비 진작에 총력… 새로운 특별 행동 계획 발표
- [더지엠뉴스] 중국 정부가 소비 촉진을 위한 대규모 정책을 발표했다.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사무국과 국무원 사무국은 최근 **《소비 진흥을 위한 특별 행동 계획》**을 공개하며, 이를 각 지방정부와 부처가 철저히 실행할 것을 요구했다. 이번 계획은 주민 소득 증가, 소비 환경 최적화, 서비스 산업 확대, 대형 소비 촉진 등 다방면에서 소비 활성화를 유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우선, 도시 및 농촌 주민의 소득 증가를 위한 조치가 시행된다. 정부는 임금 상승을 유도하고, 중소기업과 취약계층을 위한 고용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최저임금 기준을 과학적으로 조정하고, 대형 인프라 및 농촌 개발 사업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또한, 주식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 대책을 마련해 장기 투자 자금 유입을 촉진하고, 국유기업 상장사의 시장 가치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금융 사기 및 불법 주식 매각을 엄격히 단속할 방침이다. 소비 능력 보장을 위한 지원책도 확대된다. 육아 지원 강화를 위해 출산 및 양육 보조금 제도 도입이 검토되며, 교육 및 의료 재정 지원이 강화된다. 2025년부터 도시 및 농촌 주민의 기초 연금과 기본 의료보험 재정 지원이 확대되고, 개인 연금 제도가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또한, 실업자 및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이 확대되며, 장애 노인을 위한 돌봄 서비스도 강화된다. 서비스 소비 활성화도 주요 목표다. 정부는 고령층과 아동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확대하고, 관광·문화 소비를 활성화하며, 생활 밀착형 서비스 산업을 발전시킬 계획이다. 노인 맞춤형 주거 환경 조성, 실버 관광 활성화, 지역 기반 보육 서비스 확대 등의 정책이 추진된다. 또한,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단독 비자 면제국을 확대하고, 국제 의료 및 전시 산업을 육성할 방침이다. 대형 소비 촉진을 위한 정책도 포함됐다.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노후 주택 개조와 도시 정비 사업을 강화하고, 자동차 및 가전제품 교체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전기 자전거 구매 보조금 지급, 중고차 거래 활성화, 자동차 개조 및 레저 차량 소비 확대 정책도 시행된다. 아울러, 소비 환경 개선을 위해 소비자 권리 보호를 강화하고, 허위 광고 및 가짜 상품 판매를 엄격히 단속할 예정이다. 소비 데이터 통합 시스템을 구축해 시장 투명성을 높이고, 실시간 소비 동향 분석을 통해 정책 대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정책은 단순한 경기 부양을 넘어, 중국 경제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소비 기반을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정부는 신속한 실행을 통해 소비 심리를 회복시키고, 내수 시장을 확장하여 경제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
- 중국
-
중국, 소비 진작에 총력… 새로운 특별 행동 계획 발표
-
-
외부 세력의 홍콩 법치 개입, 실패로 끝날 것
- [더지엠뉴스] 중국 외교부 홍콩 주재 사무소가 미국, 영국, 캐나다 등 서방 국가들의 홍콩 내정 개입에 강력히 반발했다. 해당 국가들의 유엔 상주 기구 관계자들이 홍콩 반중(反中) 세력 관련 인사들의 가족 및 변호인단을 공개적으로 접촉하며 홍콩 법치를 왜곡하고 내정에 간섭한 것에 대해 강한 불만과 반대를 표명했다. 외교부 대변인은 홍콩이 법치 사회이며, 법을 준수하고 위반 시 처벌받는 것이 기본 원칙이라고 강조했다. 반중 세력들은 법률적 경계를 넘고, 홍콩의 헌법적 질서와 일국양제(一国两制) 원칙을 훼손했으며, 심지어 외부 세력과 결탁해 국가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홍콩 사법기관은 법에 따라 공정하게 사건을 심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외부 간섭은 용납될 수 없다고 밝혔다. 또한, 서방 국가들이 법치와 인권 문제에서 이중잣대를 적용하며 다른 나라를 근거 없이 비난하는 것은 위선적이며 실효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외교부는 이들 국가에 국제 관계의 기본 원칙을 준수하고, 법치 정신을 존중하며, 즉각적으로 홍콩 및 중국 내정 간섭을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번 발언은 홍콩의 법치와 중국의 주권을 수호하기 위한 단호한 입장을 보여주며, 중국 정부가 서방의 간섭을 결코 용인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한 것이다.
-
- 중국 시각
-
외부 세력의 홍콩 법치 개입, 실패로 끝날 것
-
-
미국 전문가, 한국 투자자 행태 경고… "폭락 직전 주식만 산다"
- [더지엠뉴스] 미국 자산운용사 아카디안(ACADIAN)의 오웬 라몬트 수석 부사장이 한국 개인 투자자(서학개미)의 공격적인 투자 행태가 미국 증시 변동성을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라몬트 부사장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 '오징어 게임 주식시장(The Squid Game stock market)'에서 한국 개인 투자자들이 고위험 자산에 집중하며 시장 불안정을 초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레버리지 단일 주식 ETF, 암호화폐 ETF, 양자컴퓨팅 관련 주식에서 극심한 변동성이 나타나는 이유가 한국 투자자들의 집중 매수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개인 투자자의 미국 주식 보유액은 1121억 달러(약 163조 원)로 전체 시장 규모(62조 달러) 대비 0.2%에 불과하지만, 특정 틈새시장에서는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2월 한국 투자자들이 1억1100만 달러(약 1613억 원)를 매수한 리게티 컴퓨팅(Ligget Computing)은 한 달 만에 주가가 1400% 폭등했지만 이후 55% 하락하는 등 한국 투자자의 집중 투자가 시장 변동성을 증폭시킨 사례로 지적됐다. 라몬트 부사장은 한국 투자자들의 행태를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에 빗대어 설명했다. 그는 "한국 투자자들은 빠르게 부자가 되기 위해 큰 위험을 감수하고 투자에 나서며, 이는 종종 좋지 않은 결과로 이어진다"고 경고했다. 그는 또한 과거 글로벌 금융사에서 손실을 본 개인 투자자 그룹을 언급하며 "1989년 일본의 부동산 버블, 1999년 IT 버블, 2021년 밈 주식 광풍처럼 한국 투자자들도 현재 비슷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분석했다. 라몬트 부사장은 "오징어 게임 참가자들이 게임 규칙을 정확히 알지 못한 채 위험한 선택을 하는 것처럼, 한국 투자자들도 높은 수익을 좇아 위험한 투자에 나서고 있다"며, "가장 현명한 선택은 시장에서 한발 물러나 지루하더라도 인덱스 펀드를 매수하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아카디안 자산운용은 1986년 설립된 글로벌 퀀트 헤지펀드로, 현재 약 1170억 달러(약 169조 원)를 운용하고 있다. 라몬트 부사장은 경제학 박사로 하버드·프린스턴 대학 교수 및 예일대·시카고대 경영대학원 교수로 활동한 금융시장 전문가다.
-
- 한국 이슈
- 증권/금융
-
미국 전문가, 한국 투자자 행태 경고… "폭락 직전 주식만 산다"
-
-
뜨거운 커피가 생식기에 쏟아졌다…스타벅스, 727억 배상 판결
- [더지엠뉴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스타벅스 드라이브스루를 이용하던 배달기사가 뜨거운 커피를 쏟아 생식기에 심각한 화상을 입었고, 법원은 스타벅스가 5,000만 달러(약 727억 원)의 배상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사건은 2020년 로스앤젤레스에서 발생했다. 배달기사 마이클 가르시아는 스타벅스 매장에서 커피 세 잔이 담긴 트레이를 받던 중, 벤티 사이즈(591㎖)의 뜨거운 음료가 무릎과 생식기 부위로 쏟아졌다. 그는 즉시 극심한 고통을 호소하며 병원으로 이송됐고, 화상 치료를 받았다. 법정에서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사고 원인은 컵 뚜껑이 완전히 닫히지 않았고, 트레이에 컵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쉽게 기울어진 것이었다. 이로 인해 가르시아는 3도 화상을 입고 피부 이식 수술을 받았으며, 생식기 신경 손상과 영구적 변형 등의 후유증을 겪고 있다. 가르시아 측 변호인은 "이 사고로 인해 평생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안고 살아야 한다"며 스타벅스의 관리 소홀을 강하게 비판했다. 또한, 가르시아는 현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상태라고 전했다. 재판 과정에서 스타벅스는 300만 달러(약 43억 원)의 합의금을 먼저 제시했으나, 가르시아 측이 이를 거부했고 이후 3,000만 달러(약 430억 원)로 합의금을 상향했으나 협상이 성사되지 않았다. 결국, 배심원단은 스타벅스가 가르시아의 부상에 전적인 책임이 있다고 판단하며 5,000만 달러의 배상을 명령했다. 스타벅스는 즉각 항소 의사를 밝히며 "피해자의 고통에는 공감하지만, 배심원의 판결은 부당하며 배상금 규모도 과도하다"고 반발했다. 이어 "스타벅스는 고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여기며, 뜨거운 음료 취급 과정에서 높은 기준을 유지해 왔다"고 주장했다. 한편, 1994년 맥도날드에서도 유사한 사건이 발생해 고객에게 300만 달러(약 43억 원)의 배상을 명령받은 바 있다.
-
- 국제
- 사회/과학
-
뜨거운 커피가 생식기에 쏟아졌다…스타벅스, 727억 배상 판결
-
-
'전국 소협 스마트 315 플랫폼' 공식 출시
- [더지엠뉴스] 중국소비자협회(中消协)가 주관하는 2025년 ‘3·15 국제 소비자 권익의 날’ 행사가 3월 15일 베이징에서 개최됐다. 행사에서 '전국 소협 스마트 315 플랫폼'의 공식 출시가 발표되었으며, 인공지능(AI) 기반 소비자 지원 시스템이 도입됐다. 이 플랫폼은 소비자 불만 처리를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기업의 책임 강화를 위한 공개 평가 시스템도 포함하고 있다. 이 플랫폼은 ‘DeepSeek’이라는 AI 기반 소비자 응대 시스템을 통해 소비자 문의에 대한 스마트 응답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업계별 공시, 지수 공시, 협력형 관리 등의 기능을 최적화해 소비자의 불만 접수가 원활하게 이뤄지고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특히, 소비자 불만 공시 기능이 강화되었다. 플랫폼은 개별 사례 공시, 업계 공시, 지수 공시 등 세 가지 주요 기능을 제공한다. 개별 사례 공시는 소비자 권익을 심각하게 침해한 사업자를 공개하는 기능이며, 새롭게 추가된 업계 공시와 지수 공시는 기업의 분쟁 해결 속도, 화해 성공률, 조정 과정 협력도 등을 점수화해 평가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각 기업의 소비자 불만 처리 지수를 평가하고 순위를 매겨, 소비자들이 기업의 신뢰도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평가 지표는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모든 소비자 불만 사례가 기업의 평가 지수에 직접 반영된다. 이를 통해 기업들이 소비자 불만을 더욱 신중하게 다루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소비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해당 플랫폼은 2024년 3월 15일부터 시범 운영을 시작했으며, 올해 3월 13일까지 약 4.1억 위안(약 7,500억 원)의 소비자 피해 보상을 도왔다.
-
- 중국
- 경제
-
'전국 소협 스마트 315 플랫폼' 공식 출시
-
-
시진핑, "두 가지 확고한 유지" 강조하며 경제 발전 방향 제시
- [더지엠뉴스] 시진핑(习近平) 총서기가 "두 가지 확고한 유지(两个毫不动摇)"를 강조하며, 중국 경제의 기본 원칙과 발전 방향을 명확히 제시했다. 그는 국유 경제를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동시에 민영 경제의 성장을 적극 지원하여 시장 내 공정한 경쟁을 보장할 것을 약속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구시(求是)》는 3월 16일자로 시진핑 총서기의 2013년 11월부터 2025년 2월까지의 주요 경제 관련 발언을 정리한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에서는 중국의 기본 경제제도가 헌법과 당 강령에 명시되어 있으며, 이는 변하지도, 변할 수도 없는 원칙임을 강조했다. 국유 경제를 공고히 하면서도 민영 경제의 발전을 촉진하는 것이 중국 경제 발전의 핵심 방향임을 분명히 했다. 시진핑 총서기는 국유기업이 중국 경제 발전, 국방 강화, 과학기술 혁신, 국민 생활 향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며, 앞으로도 이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을 밝혔다. 국유기업이 당과 국가의 중요한 경제적 기반이며, 이를 잘 운영하는 것이 곧 중국의 발전과 직결된다고 설명했다. 동시에 민영 경제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시진핑 총서기는 민영 경제가 중국 경제 성장, 일자리 창출, 혁신 촉진 등에 중요한 기여를 해왔다고 평가하며, 중국 정부는 민영 기업과 기업가들을 '자기 사람'으로 간주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민영 기업이 어려움을 겪을 때 지원하고, 발전 방향이 불명확할 때 명확한 정책적 지침을 제공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는 중국 경제 발전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민영 기업이 더욱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다. 또한, 시진핑 총서기는 국유 경제와 민영 경제가 서로 배척하는 관계가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관계임을 강조했다.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 아래에서는 모든 경제 주체가 조화를 이루며 발전해야 하며, 이를 통해 중국 경제의 지속 가능성과 국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발표는 중국 경제 정책의 일관성을 재확인하는 동시에, 시장 개방과 법적 보호를 강화해 국유 및 민영 경제가 함께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반영하고 있다.
-
- 중국
- 정치
-
시진핑, "두 가지 확고한 유지" 강조하며 경제 발전 방향 제시
-
-
이란 핵 문제 해결 위한 중러이란 공동입장… 정치적 해법 강조
- [더지엠뉴스] 중국 외교부 대변인 마오닝(毛宁)은 3월 14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중국, 러시아, 이란이 베이징에서 회담을 열고 이란 핵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담에서 세 국가는 이란 핵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의견을 교환하며, 정치적·외교적 대화가 유일한 해결책임을 재확인했다. 또한, 경제 제재와 무력 사용 위협을 배제하고 사태를 악화시키는 행동을 자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핵무기 비확산 조약(NPT)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란이 핵 프로그램의 평화적 성격을 유지할 것임을 재확인한 점을 환영했다. 중러 양국은 이란이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핵 에너지를 평화적으로 이용할 권리를 보장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오닝 대변인은 이란 핵 문제가 다시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으며, 이번 베이징 회담이 정치적 해결을 위한 중요한 시도라고 평가했다. 그는 제재와 무력 사용은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대화와 협상이 유일한 해결책이라며 국제사회가 협력해 나갈 것을 촉구했다. 중국은 이란 핵 문제에 대한 공정하고 균형 잡힌 해결안을 마련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할 것이며, 국제 핵 비확산 체제 유지와 세계 및 지역 평화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타지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이 3월 13일 국경 협정을 체결하며 오랜 국경 분쟁을 종식한 것에 대해 중국 정부는 양국의 평화적 해결 노력을 높이 평가하며 환영했다. 마오닝 대변인은 타지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이 협상을 통해 분쟁을 해결한 것은 지역 평화와 안정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중국 역시 두 나라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중국-중앙아시아 운명공동체’ 구축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이 평화 협정을 체결하며 40년간 지속된 국경 분쟁을 마무리할 가능성이 높아진 것에 대해 중국 정부는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 마오닝 대변인은 중국은 두 나라가 대화를 통해 갈등을 해결하고 평화로운 공존을 실현하는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양국이 외교적 해결을 지속하며 지역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가 발표한 2025년 정부 업무 보고서에서 ‘구체적 지능(具身智能)’과 ‘가젤 기업(瞪羚企业)’ 같은 신개념이 등장하며 신산업 육성 의지를 강조했다. 마오닝 대변인은 신산업 생산력(新质生产力)은 기술과 산업 혁신이 주도하는 생산력으로, 인공지능(AI), 양자컴퓨팅, 휴머노이드 로봇, 자율주행 전기차 등이 대표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이 새로운 에너지, 신소재, 첨단 기술을 적극 개발하며 세계 시장에서 기술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중국의 신산업 성장 모델이 글로벌 공급망과 가치 사슬에 융합되고 있으며, 개발도상국과의 기술 협력도 확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래 중국은 혁신을 향해 나아갈 것"이라며, 중국이 세계 산업의 변화를 주도하는 국가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마오닝 대변인은 미국이 이란을 대상으로 한 일방적 제재를 지속하는 것에 대해 중국은 반대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며, 중국은 불법적인 단독 제재에 반대하며 다자주의와 국제 규범을 준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미국과 유럽연합(EU) 간 무역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중국은 무역전쟁이 어느 쪽에도 이익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마오닝 대변인은 미-EU 간 무역 정책에 대해 중국이 개입할 필요가 없지만, 중국을 이 논쟁에 끌어들이려는 시도는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중국 입장 재확인… “공정하고 지속가능한 평화협정 필요” “모든 관련국의 합의가 필요”… 외교적 해결 촉구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협상할 가능성을 언급한 것에 대해 중국은 외교적 해결을 지지하며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평화협정을 촉구했다. 마오닝 대변인은 모든 관련국이 대화와 협상을 통해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평화협정을 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중국은 국제사회와 협력해 이 문제 해결을 위해 건설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중국
- 정치
-
이란 핵 문제 해결 위한 중러이란 공동입장… 정치적 해법 강조
-
-
다이빙 대사, 한국산둥상회 대표와 회동… 중한 경제협력 강화 논의
- [더지엠뉴스] 다이빙(戴兵) 주한 중국대사는 3월 5일 장원쥔(张文君) 한국산둥상회 회장 일행과 만났다. 이 자리에는 중홍눠(钟洪锘) 주한 중국대사관 공사참사관 겸 총영사가 배석했다. 다이빙 대사는 한국산둥상회가 2025년 정월대보름 페스티벌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것에 대해 축하의 뜻을 전했다. 그는 상회가 향후에도 같은 행사를 지속적으로 주최하여 한국 사회 내에서 중국 문화를 더욱 널리 알리고, 양국 국민 간 우호적인 교류를 확대하는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이러한 행사가 사회적 영향력을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중한 관계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다이빙 대사는 특히 한국산둥상회가 중한 경제∙무역 협력을 촉진하고 재한 산둥 출신 기업과 동포들의 권익을 보호하는 데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앞으로도 양국 간 협력의 가교 역할을 지속해 줄 것을 요청하며, 중국 대사관도 이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장원쥔 회장은 상회의 활동과 경제∙무역 협력의 성과를 소개하며, 앞으로도 산둥성의 우수한 기업들이 해외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한국 기업들의 산둥성 투자 유치를 확대하는 실질적인 플랫폼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과 산둥성 간의 경제적 협력이 더욱 긴밀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회동은 중한 경제 협력과 문화 교류 확대를 위한 의미 있는 자리였으며, 향후 양국 간 경제 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 한중교류와 협력
-
다이빙 대사, 한국산둥상회 대표와 회동… 중한 경제협력 강화 논의
-
-
[KIC중국 공동]급성장하는 디지털 치과 산업, 중국이 선도할까? [산업 트랜드 33]
- [더지엠뉴스] 최근 중국의 디지털 치과 산업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인공지능(AI), 3D 프린팅, 스마트 치과 장비, 원격 진료 기술이 치과 산업을 혁신하며, 중국 기업들은 첨단 기술을 적극 도입해 산업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전통적인 치과 치료 방식에서 벗어나, 중국은 디지털 스캐닝, AI 기반 진단, 맞춤형 치과 보철물 제작을 통해 효율성과 정밀도를 높이고 있다. 중국의 대표적인 디지털 치과 기업들은 정확도 높은 3D 스캔 기술과 AI 알고리즘을 활용한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며, 치료 과정의 자동화와 비용 절감을 실현하고 있다. AI와 3D 프린팅이 바꾸는 치과 치료 디지털 치과 산업에서 가장 빠르게 발전하는 분야는 AI 기반 진단 시스템과 3D 프린팅 기술이다. AI 기술은 치아 상태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최적의 치료 계획을 제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진단 시간 단축과 오진율 감소가 가능해졌다. 특히 3D 프린팅 기술은 환자의 치아 구조를 실시간으로 스캔하고, 맞춤형 임플란트 및 보철물을 제작하는 데 활용되면서 치료 속도와 품질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키고 있다. 중국 기업들은 고해상도 3D 스캐닝 기술과 정밀한 프린팅 공정을 접목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스마트 치과 장비와 원격 진료 확산 중국에서는 스마트 치과 장비와 원격 진료 서비스가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디지털 장비를 활용한 자동 진단 시스템과 AI 기반 교정 치료 솔루션이 등장하면서 환자 맞춤형 치료가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중국의 주요 대형 병원과 스타트업들은 원격 치과 진료 플랫폼을 구축해, 도서산간 지역에서도 고품질 치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으로 인해 치료 접근성이 확대되고, 환자의 의료비 부담이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중국 기업, 글로벌 시장 진출 가속화 중국의 디지털 치과 기업들은 해외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업들은 글로벌 치과 전시회에 참가하며, AI 기반 치과 소프트웨어 및 자동화 장비를 유럽, 북미, 동남아 시장에 적극 수출하고 있다. 또한, 중국 정부는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 정책을 확대하면서, 의료 기술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외 기업들과 협력을 확대하며 글로벌 의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미래 전망: AI와 자동화로 더욱 정밀한 치료 실현 전문가들은 향후 AI와 자동화 기술이 더욱 발전하면서 디지털 치과 치료의 정밀도가 한층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AI가 실시간으로 환자의 치아 데이터를 분석하고 맞춤형 치료 계획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치과 치료 방식이 크게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치과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중국은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
- 기업과 경제
- 산업 트랜드
-
[KIC중국 공동]급성장하는 디지털 치과 산업, 중국이 선도할까? [산업 트랜드 33]
-
-
중국 다이빙 대사, 정몽규 대한축구협회 회장과 회동…한중 축구 협력 강조
- [더지엠뉴스] 3월 5일, 주한 중국 대사 다이빙(戴兵)이 정몽규 대한축구협회 회장과 만남을 가졌다. 다이빙 대사는 정몽규 회장의 대한축구협회 회장 연임을 축하하며, 한국 축구가 거둔 우수한 성과를 높이 평가했다. 그는 축구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스포츠로 자리 잡았으며, 대중의 사랑을 받는 만큼 한중 관계 발전과 양국 국민 간 감정 증진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몽규 회장은 대한축구협회와 중국축구협회가 오랜 기간 긴밀한 교류와 협력을 유지해왔다고 언급하며, 앞으로 중국과 함께 다양한 축구 경기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중국 축구가 지속적으로 새로운 발전을 이루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회동을 통해 양측은 축구를 매개로 한중 관계 발전과 스포츠 교류 확대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앞으로도 한중 양국 간 축구 협력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
- 한중교류와 협력
-
중국 다이빙 대사, 정몽규 대한축구협회 회장과 회동…한중 축구 협력 강조
-
-
중국 증시, 소비 진작책 기대감에 급등…상하이·CSI 300 연고점 경신
- [더지엠뉴스] 14일(현지시간) 중국 주요 주가지수가 정부의 소비 진작책 발표 예고에 대한 기대감 속에서 급등하며 연고점을 새로 썼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날 중국 본토의 상하이종합지수는 60.83포인트(+1.81%) 상승한 3,419.56으로 마감하며 지난해 12월 30일(3,407.326) 이후 처음으로 3,400선을 돌파했다. 상하이·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 지수는 94.98포인트(+2.43%) 오른 4,006.56으로 마감하며, 지난해 12월 12일(4,028.51) 이후 처음으로 4,000선을 회복했다. 이날 상승률은 상하이종합지수와 CSI 300지수가 각각 2.54%, 2.63% 상승했던 지난 1월 14일 이후 약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중국 재정부, 상무부, 인민은행 등 경제 관련 부처는 오는 17일 합동 기자회견을 열고 내수 진작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중국 정부가 양회(两会,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5% 안팎'으로 설정한 것과 맞물려 시장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이에 따라 대표적인 소비주들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중국의 대표적 주류 제조업체인 구이저우마오타이(贵州茅台) 주가는 5.87% 상승했으며, 출산율 제고 정책의 수혜주로 꼽히는 유아용품업체 베이인메이(贝因美)는 상한가(+10%)를 기록했다. 중국 투자은행 샹송(祥嵩)의 애널리스트 멍선(孟森)은 "정책 기대감이 시장을 견인하고 있지만, 실제로 소득 증대 방안 등 구체적인 내용이 부족할 경우 이러한 낙관론이 약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시간 오후 4시 13분 기준 홍콩 항셍지수는 2.36% 상승했고, 홍콩H지수(HSCEI)는 2.98% 상승하며 중국 본토 증시와 함께 강세를 보였다.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는 0.72% 상승했고, 대만 자취안 지수는 0.03% 오르는 등 아시아 증시도 전반적으로 상승했으나, 한국 코스피는 0.28% 하락하며 약보합으로 마감했다. 사상 최고가를 기록한 금 현물 가격은 이날 한때 온스당 2,993.91달러까지 상승하며 3,000달러 돌파를 눈앞에 뒀다. 이후 상승분을 일부 반납하며 한국시간 오후 4시 28분 기준 2,982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
- 중국
- 증권/금융
-
중국 증시, 소비 진작책 기대감에 급등…상하이·CSI 300 연고점 경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