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18(금)
  • 전체메뉴보기
 
  • 중국산 가구·신발·의류 줄줄이 주문 취소…미국 중소기업들 도산 위기


1000019118.jpg
사진=챗GPT
 

[더지엠뉴스]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의 ‘145% 대중국 관세’ 조치가 현실로 이어지며 미국 내 기업과 물류망 전반에 심각한 충격파를 안기고 있다.


미국 CNBC 방송은 13일(현지시간), 미국의 공급망 전문가들을 인용해 미국 내에서 중국산 제품에 대한 주문 취소와 수출 중단이 일상화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컨테이너 수출은 전면 중단된 상태이며, 중국산 가구, 장난감, 신발, 의류 등 대부분의 소비재 주문이 취소되거나 항만에 방치되고 있다.


글로벌 해운 자문기관 시-인텔리전스(Sea-Intelligence)의 앨런 머피 CEO는 “미국 수입업체들이 중국산 제품 주문을 줄줄이 끊고 있다”며 “동남아는 유예 조치로 회복됐지만, 중국 제품은 여전히 전면 중단 상태”라고 설명했다.


물류기업 OL USA는 “중국 관련 비즈니스가 거의 전면 중단됐다”고 밝혔고, 택스파운데이션의 에리카 요크 경제학자는 “145%라는 초고율 관세는 미·중 무역 자체를 사실상 불능으로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고율 관세는 특히 중소기업에 직격탄이 되고 있다.


미국 의류·신발 협회(AAFA)의 스티븐 라마르 CEO는 “갑작스러운 정책 변화는 코로나19 이후 가장 심각한 공급망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며 “중소기업은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주문 취소, 매출 급감, 품절 사태에 직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부 기업은 이미 생산기지를 베트남이나 인도로 이전하거나, 남은 재고를 유럽 시장에 덤핑 판매하고 있으며, 생산 자체를 멈추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력을 요하는 제품은 생산지 이전이 쉽지 않고, 미국 내로의 생산 전환도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시-인텔리전스 머피 CEO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 목표가 불분명해 기업들은 미국 내 투자 자체를 꺼리고 있다”며 “단순 협상용이라면 장기 투자로 이어지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관세 영향으로 통관 지연, 운임 미지급 등의 이유로 선적 화물이 항만과 공항에 방치되는 사례도 급증하고 있다.


미국 항만 당국은 30일 이상 방치된 화물을 ‘유기 화물’로 간주해 경매에 부치거나 폐기 처분할 수 있다고 밝혀, 추가 손실도 우려된다.


중국을 향한 고율 관세가 오히려 미국의 경제적 피해로 되돌아오는 가운데, 미·중 무역 긴장의 후폭풍은 향후 더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신화 통신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미국의 보호무역주의가 자국 경제를 해치고 있다”며 “중국과의 협력이야말로 진정한 해법”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정부는 이에 대해 아직 공식 대응을 내놓지 않았지만, 중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 내 수요 공백을 대체할 공급망 다변화를 적극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관세·무역 관련 부처는 최근 동남아, 아프리카 등 신흥시장 확대를 논의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미국의 일방적 압박에 흔들리지 않는 공급망 구축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전체댓글 0

  • 2172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美, 관세폭탄으로 스스로 목 조이나…中제품 수입 사실상 ‘올스톱’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