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20(일)
  • 전체메뉴보기
 
  • 더지엠뉴스와 KIC공동


화면 캡처 2024-08-01 074534.jpg
KIC중국

 

 

[더지엠뉴스]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Software-Defined Networking)는 네트워크 제어 평면과 데이터 전송 평면을 분리해 네트워크의 프로그래밍화를 실현하는 새로운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가리킨다.

 

소프트웨어 정의 광역 네트워크(SD-WAN, Software-Defined Wide Area Network)SDN 기술과 광역 네트워크를 결합해 기업의 지역별 지점,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 서비스 등을 상호 연결하는 데 주로 활용된다. MPLS, PON 광섬유, LTE, 5G 등 네트워크 기술을 동시 지원한다.

 

경쟁 환경 및 제조사 사례

1) 산업체인 및 산업 지도

제조사의 사업 경향에 따라 소프트웨어형, 하드웨어형, 자원형 세 가지로 나눠진다. 사업 발전 과정에서, 세 가지 유형의 제조사 업무에는 모두 교차 중복되는 부분이 존재한다.

 

2) 제조사 경쟁 구도

현재 SDN 시장에서 하드웨어형 제조사의 시장 점유율은 약 61%이고, 자원형 제조사는 주로 운영사에 속하며, 현재 매출 점유율은 약 18%에 달한다.

 

세 유형의 제조사들은 상호 협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설비형 제조사는 기타 두 유형의 제조사에 네트워크 장비를 제공하고, 소프트웨어형 제조사와 자원형 제조사는 자체 소프트웨어 제품과 네트워크 자원을 결합한 솔루션 고객에게 납품한다.

 

세 유형의 제조사 업무 역시 점차 교차하는 추세로, 제조사 대부분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업무를 함께 운영하고 있으나, 자원 부분의 업무 침투는 여전히 더딘 상황이다.

화면 캡처 2024-08-01 074549.jpg
KIC중국

 

중국 SD-WAN 발전 추세 인사이트

1) 제품 측면

*SASE+국가 정보의 기술 자립화(신촹, 信创)

SASE(보안 액세스 서비스 에지, Secure Access Service Edge) 클라우드를 통한 네트워크 통합 관리와 전체 프로세스의 보안 운영을 통합해 기업 네트워크 시스템에 전면적이고 효율적인 보안을 제공한다.

 

*국가 정보 기술 자립화(신촹, 信创)

국비 알고리즘 및 정보기술 혁신의 국산화를 핵심으로 국가 정보 보안을 확립하고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안전하고 통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촉진한다.

화면 캡처 2024-08-01 074648.jpg

2) 기술 측면: SDN+X

*SDN+SRv6

SRv6 SR 소스 라우터의 장점과 간결하고 확장성이 뛰어난 IPv6의 특성을 결합해 라우터 확장 헤더 SRH으로 하여금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더 잘 지원하도록 하고, SDN의 중앙 집중 제어와 결합해 네트워크 배치 및 관리를 더욱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만들어 준다.

 

*SDN+6G

6G는 고속, 고효율, 저지연, 맥시멈 커넥션 등 특징으로, SDN에 더욱 강력한 네트워크 인프라 지원을 제공할 것이다.

 

*SDN+AI

AI의 스마트 의사 결정 및 자기 학습 능력은 SDN이 복잡한 네트워크 시나리오에 직면했을 때, 해당 문제를 더욱 자동화해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화면 캡처 2024-08-01 074724.jpg
KIC중국

 

3) 수요 측면: AIDC+컴퓨팅 네트워크

*인텔리전스 컴퓨팅 센터 발전의 SDN 수요 견인

AIGC의 발전으로 인해 중국 인텔리전스 컴퓨팅 센터 구축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2023년 기준, 인텔리전스 컴퓨팅 센터 등 프로젝트는 약 128건이며, 그중 83개 프로젝트의 규모는 총 7.7P를 초과한다.

 

*SDN, NFV를 핵심으로 한 클라우드 네트워크 기술은 컴퓨팅 네트워크 구축을 촉진

컴퓨팅 네트워크에는 네트워크, 클라우드, 데이터, 인텔리전스, 에지, 엔드 등 다층적인 컴퓨팅 자원이 통합돼야 하며, 중앙 집중 제어라는 SDN의 특성은 컴퓨팅 네트워크가 전체 자원의 최적화 관리를 실현하는 데 도움을 준다.

 

화면 캡처 2024-08-01 074754.jpg
KIC중국

 

 

4) 수요 측면: 스마트 제조사의 해외 진출

*스마트 제조사의 해외 진출은 지점 간 상호 연결에 대한 더 높은 요구 조건을 제시

현재 중국의 스마트 제조업계는 글로벌 생산 자원의 최적화 배치를 위해 동남아, 라틴아메리카 등에 공장을 설립하거나 유럽, 미국 등에 R&D센터를 구축하고 있다.

 

현재 제조사의 네트워크 수요는 대부분 생산라인 상호 연결, 안정적인 사무용 네트워크 부분에 집중되어 있으며, R&D센터의 간헐적 네트워크 수요가 급증할 경우에도 네트워크의 높은 이용성을 보장해야 하므로, 해외 개발도상국의 네트워크 유연성과 POP 수량에 대한 요구 조건이 더욱 높아지게 됐다.

 

*다중 클라우드 환경의 SLA 보장 및 글로벌 전용라인의 불안정성

 

제조업 기업의 네트워크는 상대적으로 전통적인 방식으로 구축됐고, 다중 클라우드 설치와 운영업체는 전용 라인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기업이 글로벌 사업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전용 라인의 비싼 비용, 긴 설치 시간, 나라 간 불안정한 연결 등이 주요 애로사항이 되고 있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전체댓글 0

  • 52984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SDN과 광역 네트워크의 결합 - 중국 SDN 및 SD-WAN 산업 발전현황 [산업 트랜드 7-2]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