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20(일)
  • 전체메뉴보기
 
  • 더지엠뉴스와 KIC중국 공동


화면 캡처 2024-08-25 142521.jpg

 

[더지엠뉴스] 2015중국 제조 2025(中国制造2025)’ 10년 전략계획을 발표한 이후부터 지금까지, 중국의 스마트 제조는 고속 성장기에 접어들었으며 뚜렷한 발전 성과를 거뒀다.

 

1) 제조업 디지털화, 네트워크화, 스마트화 수준의 지속적인 향상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信部) 데이터에 따르면 20199월 기준 기업의 디지털화 연구개발 설계 툴 보급률과 핵심 공정의 수치 제어화율은 각각 69.3%49.5%에 달했다.

 

2) ‘인터넷+제조업'의 신모델 대거 등장

20199월 기준 네트워크 협력, 서비스형 제조, 커스터마이징 제조를 진행한 기업의 비중은 각각 35.3%, 25.3%, 8.1% 수준이다.

 

3) 산업 인터넷 발전의 실질적 진전

산업 인터넷은 석유, 석화, 철강, 가전, 의류, 기계, 에너지 등 산업에 광범위하게 활용됐고 중국에서 산업 및 지역 영향력을 갖춘 산업 인터넷 플랫폼의 총수는 50개를 넘어섰고, 주요 플랫폼과 연결된 장비의 수는 평균 59만 대에 이르렀다.

 

중국 스마트 제조 발전의 기회와 도전

 

1) 국가 차원

정부 차원에서는 국가와 지방 정부가 함께 정책을 적극적으로 수립하고 스마트 제조를 추진하고 있다.

 

화면 캡처 2024-08-25 140009.jpg

화면 캡처 2024-08-25 140156.jpg
KIC중국

 

2) 지방 차원

*중앙 정책에 부응해 제조업의 고품질 발전을 추진하고, 산업 기반과 기술 혁신 역량을 강화하며, 선진 제조업과 첨단 서비스업의 융합 발전을 촉진함으로써 제조강국의 건설을 가속화하고 있다.

 

세계 스마트 제조 중심 발전 동향 보고서 (世界智能制造中心发展趋势报告2019)’에 따르면 중국에는 437개의 스마트 제조 산업 단지가 있으며, 전국 27개 성시에 분포하고 있다.

 

광둥, 푸젠, 안후이, 장쑤, 베이징, 톈진 등 성시(·)는 자체적인 발전 현황에 맞춰 지방의 스마트 제조 발전 계획을 제시하고 스마트 제조 발전을 추진한다.

 

*스마트 제조 분야에서 대량의 산업 단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다수의 스마트 제조 산업 체인 기업을 육성해 중국 스마트 제조 산업의 핵심 중심지 및 인큐베이터로 거듭났다.

 

하지만 중국의 산업화와 경제 현대화가 비교적 늦은 시점에 시작됐고, 전반적인 제조업 수준이 균일하지 않으며, 혁신 연구개발 능력이 상대적으로 미흡해 스마트 제조 발전에는 많은 도전 과제가 존재하고 있다.

 

첫째, 산업 인프라와 핵심 기술의 혁신 역량이 미흡하고, 대외 의존도가 높다. 중국은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 비해 센서, 첨단 칩, 기초 소프트웨어·하드웨어 등 분야에서 많은 난제들이 존재하며, 핵심 기술의 제재로 인해 중국의 스마트 제조 발전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둘째, 정보화 및 스마트화 수준이 전반적으로 뒤떨어져 있다. 중국 제조업의 규모는 매우 방대하며, 일부 선진 제조업 기업의 경우 기계화, 자동화 분야에서 스마트화 및 정보 화로의 전환을 적극 모색하고 있지만, 다수의 기업들은 여전히 디지털화 업그레이드를 실현하지 못했고,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과의 융합 역시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셋째, 산업 구조 개선이 시급하며, 로우엔드 제조업 시장의 동질화 경쟁이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중국의 로우엔드 산업은 생산력 과잉 뿐 아니라, 선진 장비, 핵심 부품, 고성능 소재 등 미들하이엔드 산업의 보장 역량 역시 효과적으로 충족되지 못했다이에 중국 장비 제조업은 로우엔드 시장에서 심각한 동질화 경쟁이 벌어지고 있고 미들·하이엔드 시장 발전 부분에서는 기술과 인프라 지원이 부족한 상황이다.

 

넷째, 전문 인재가 부족하다. 스마트 제조 산업은 전통 제조업에 비해, 첨단 인재를 더 많이 필요로 한다. 하지만 중국은 첨단 및 복합형 인재가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스마트 제조 분야가 확장되는데 필요한 인재를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전체댓글 0

  • 7433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중국 스마트 제조 산업 발전 현황 [산업 트랜드 8-1]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