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1-26(일)
  • 전체메뉴보기
 
  • 더지엠뉴스와 KIC중국 공동


화면 캡처 2024-09-05 061746.jpg


 

중국 VR 대표 기업

 

1) 하드웨어| 다펑VR(大朋VR)

VR 하드웨어다펑VR(大朋VR)’2015년에 설립됐으며, 메타버스 기반 인프라 구축에 주력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콘텐츠를 통합한 비즈니스 체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하드웨어 부분에서는 PCVR VR 일체형 기기 두 가지 제품 시리즈를 보유하고 있고, 설비 종합 성능의 우수성으로 중국 내에서 업계 선두를 차지하고 있으며 해외 시장 역시 꾸준히 확장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 부분에서는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 시스템과 콘텐츠 배포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으며, 헤드셋의 편의성과 사용감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기업용 응용 프로그램 역시 다펑 VR’의 핵심 비즈니스 전략 중 하나로, 성숙된 통합 방송 컨트롤 솔루션과 스타 체인솔루션은 이미 교육 산업에 도입되어 몰입형 첨단 교육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현재 다펑 VR은 다수의 VR 콘텐츠 제작사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VR+’ 생태계를 공동 구축하여, 교육, 의료, 훈련, 엔터테인먼트 등 여러 분야로 확장하며 각 산업에 최고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2) 상호작용 기술 | 링위즈콩(凌宇智控NOLO)

링위즈콩(凌宇智控NOLO)’2015년 설립되었으며, XR 분야에 특화된 연구, 생산,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전정특신(专精特新)1 기술 기업이다. NOLO는 다년간 6DoF 인터렉션 기술 개발에 매진해 왔으며, 자체 개발한 위치 추적 솔루션 ‘SodarTraq®’, ‘PolarTraq®’은 세계적인 수준에 이른다.

 

휴대용, 저전력, 고정밀 등 제품 경쟁력으로 Oculus, 화웨이 VR, 아이치이(爱奇艺) VR, PICO, 다펑(大朋) 등 중국 국내외 VR 제조사들과의 협력을 끌어냈다.

 

NOLO는 줄곧 VR 인터렉션을 주요 전략 중 하나로 삼아, 인터렉션 링, 컨트롤러 등 뿐 아니라, 선두적인 혁신 기술에도 투자하고 있으며, 소형 6DoF 인터렉션 솔루션, 손 제스처 인식, 미세 표정 인식 등 분야에서 연구를 확장하고 있다.

 

NOLO가벼움, 휴대성, 저렴함VR 장치의 미래 발전비전으로 삼아, 클라우드 기반 VR 기술에 대한 준비를 진행하고 있으며, ‘차이나모바일과 협력해 5G 클라우드 VR 응용프로그램을 모범사례로 제시했다,

 

기업은 현재까지 6DoF VR 일체형 기기, 6DoF VR 인터렉션 컨트롤러, VR 가속 라우터, 3DoF 인터렉션 키트 등 제품을 출시했으며, 인터렉션 방식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모바일 장치를 사용해 언제 어디서나 몰입 체험을 구현할 수 있게 했다.

3) 인터렉션 기술 | 쉬닝동뎬(虚拟动点)

쉬닝동뎬(虚拟动点)’2017 년에 설립되었으며, 리아드(利亚德 Leyard) 그룹의 100% 소유 자회사다.

 

기업은 설립 이래로 디지털 기술 분야에 힘쓰며, 풍부한 공간 위치 데이터를 축적해 오고 있다. 또한 기업의 핵심 기술인 데이터 리소스를 활용하여, 공간 컴퓨팅을 주체로 하는 AI 대형 언어 모델, 하드웨어 장치, 공간 데이터의 일체 삼핵심(一体三核)’ 발전 전략을 구축했다.

 

기업은 다양한 공간 컴퓨팅 알고리즘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체 개발한 OptiTrack 모션 캡처 기술은 업계 선두 수준에 달한다.

 

최근 출시된 전문 대형 언어모델 ‘LYDIA’는 공간 컴퓨팅 및 모션 캡쳐 분야의 장기적인 기술 노하우를 활용해, 기타 AI 대형 언어 모델 기업과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형성하고, AIGC 신 모델을 탐색해 나가고 있다.

 

현재 기업은 산업, 의료, 영화 등 9 개 분야의 산업 솔루션을 갖추고 있으며, 산업 시뮬레이션, 디지털 휴먼 인터렉션, 원격 의료 등 수십 가지 환경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미래 전망

중국 VR 산업은 비록 급속한 발전 단계에 있지만, 미국, 유럽, 일본 등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VR 대표들과 비교하면 아직 초기 단계이며, 자본 투자, 기술 연구 개발에서 시장 판촉 등 방면에서 아직도 차이가 있다.

 

또한 콘텐츠 방면에서도 많은 부족함이 있어 향후 양질의 IP를 끌어드는 것을 목표로 할 것이다. 제품 측면에서는 MR VR 생산업체들의 전쟁터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아이리서치(iResearch)에 따르면 2024 년 초 비전프로(VisionPro)가 출시되면서 XR 시장을 비롯한 VR 시장 전반은 코로나 팬데믹 이전보다 어느정도 활성화되었지만, 제조 기업들이 하드웨어와 콘텐츠 생태계를 완비시는 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아이리서치는 2024년 글로벌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소폭 증가해, 810만 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2023VR 단말기의 글로벌 출하량은 765만 대에 달했으며, 메타(Meta)가 시장을 주도했고 점유율은 70%를 넘어섰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전체댓글 0

  • 5370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중국 VR 산업 발전 현황 [산업 트랜드 13-2]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